최호열의 <포천시 지명유래 8> 송우리 태봉

송우리 마을은 '솔모루'라고도 한다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에는 '태봉'이라는 작고 아담한 산봉우리 하나가 마을을 싸 안을 듯이 다정하게 내려다보고 있다.

이 태봉은 고려 왕녀의 태를 묻은 곳으로 포천 고을 여러 곳에 있는 태봉 중에서도 그 이름이 나있으며 아름답고 정겨운 이야기를 전하고 있어 더욱 더 유명하다.

송우리 마을은 '솔모루'라고도 하는데 아름답고 늘푸른 소나무가 울창한 마을이어서 '솔모루'라고 부르는 마을이 되었다고 하는 이도 있고,

큰 우시장이 있어 소몰이꾼들이 모여 살았다고 해 '솔모루'라고 불렀다고 하는 이도 있으나 그 연유는 정확히 알 길이 없다.

다만 포천 고을은 크고 힘세며 순하고 일 잘 하는 소를 많이 길러서 이곳 송우리 시장에 내다 파는 부지런한 농부들이 많이 사는 이름난 고을이었다.

이 고을 송우리에 김 진사라는 분이 살았다. 김 진사 댁도 다른 마을 사람들과 같이 소를 살찌게 기르는 부지런한 농가였으며 선비의 집안이었다. 오랜만에 옥동자를 낳은 며느리를 자랑하는 김 진사이기도 했다.

왕방산과 수원산이 마주 보이는 마을이어서 출중한 아들이 태어났다고 김 진사는 매우 기뻐했다.

옥동자를 본 김 진사는 옥동자가 자랄수록 대견하고 귀엽기 그지없었으나 걱정이 하나 생겼다. 그렇게도 펑펑 샘솟 듯 쏟아지던 며느리의 젖줄이 하루아침에 뚝 그치고 만 것이었다.

“김 진사 댁 며느리가 젖이 말랐다면서? 젖이 없어서 젖엄마(유모)를 들여야 할 처지라면서?”

김 진사 댁 며느리가 젖이 말랐다는 소문은 온 고을 안에 온통 퍼졌다.

“김 진사님이 혹시 절손의 원이라도 산 것이 아닌감?”

말 많은 사람들이 한마디씩 떠들어댔다. 그러나 말 많은 사람들의 입방아는 오히려 김 진사를 괴롭게 하기에만 족하였고 아무 도움도 되지 못했다.

김 진사 댁 마님은 그만 병환이 날 지경이었다. 그래서 김 진사 댁 마님은 사방팔방으로 사람을 보내어 젖이 잘 나는 약을 구하였으나 허사였다. 돼지족을 삶아 먹이기도 하고 인삼, 녹용을 먹이기도 하였으나 그 역시 허사였다. 심지어는 산신령님께 치성을 드리라는 사람도 나타났다.

그러나 김진사 댁에서는

“어찌 양반집에서 무속을 숭상한단 말인가? 하늘의 뜻이니 참고 기다림이 옳을진대…….”

참고 기다리는 것이 상책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기다렸다.

 

그러나 기다리는 것이 어느 때까지여야 하는지 답답하고 고달팠다. 김 진사 댁 마님은 산을 찾았다. 산나물을 뜯으러 태봉산에 올라갔다.

응아리, 꿩의다리, 수리취, 혼닢, 비비취, 다래순, 산도라지, 더덕 등 아주 맛난 산채들이 많이 있었다.

그런데 이런 맛난 산채들을 캐 가지고 내려오려는데 이상하게도 발이 떨어지지 않았다. 준수하게 빼어난 태봉산이 마치 김 진사 댁이나 마을을 위해 무슨 일인가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태봉을 향해 정성껏 큰절을 올렸다.

그리고 두 손 모아 몇 번이고 다시 절을 올리며 빌었다.

‘…….’

아무 말도 하지 않고 큰절만 올렸으나, 김 진사 댁 마님의 마음 속에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와 행복을 비는 마음이 가득하였으며, 며느리의 탐스러운 젖에서 꿀 같은 젖이 펑펑 쏟아지기를 기원하는 마음이 가득했다.

태봉은 고려 왕녀의 태를 묻은 영산으로, 크고 아름다운 나무숲을 마을 사람들이 정성들여 가꾼 산인지라 매우 아름답고 울창하였다.

김 진사 댁 마님이 치성을 드린 지 100일이 되던 어느날 밤, 마님의 꿈에 신령님이 나타났다.

“마님, 들으시오. 그 동안 태봉에다 치성을 드린 정성이 하늘에 닿았습니다. 내일 아침 일찍 표주박을 들고 태봉산 밑으로 가 보시오. 맑고 싱그런 샘물이 솟을 것입니다. 그 샘물을 떠다 마시면 마님의 소원을 이룰 것이니 그리 아시오.”

흰 머리에다 희고 긴 수염을 단 신령님의 말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한 가지 소원만 이룰 것이니, 꼭 한 가지만 태봉을 향해 소원을 빌고는 샘물을 떠다 마시도록 하시오.”

깜짝 놀라 깨어 보니 꿈이었다. 김 진사 댁 마님은 며느리를 잠자리에서 몰래 깨운 후 옥동자를 업고는 태봉산 기슭으로 갔다.

태봉산 기슭에 이르자 김 진사 댁 마님과 며느리는 태봉산을 향해 정성껏 빌었다.

‘이게 웬일인가?’

갑자기 조용하던 태봉산 기슭에서 샘물이 펑펑 솟는것이었다. 김 진사 댁 마님과 며느리는 솟는 샘물을 표주박으로 떠 마시고는 집으로 돌아왔다. 하루가 지나자 신기하게도 김 진사 댁 며느리의 젖샘이 시원스레 터졌다.

“김 진사 댁 며느리가 태봉산 샘물을 마시고 젖샘이 솟았다면서?”

소문은 순식간에 온 포천 고을에 퍼졌다.

이 소문이 퍼지자 고을 고을마다 젖이 부족하거나 젖이 나오지 않는 여인들이 구름과 같이 모여 들었다. 너도 나도 맑은 샘물을 마시며 소나무 숲이 우거진 태봉을 향해 두 손을 모아 빌었다.

그 후, 솔모루 마을은 태봉산과 젖샘물로 유명해졌다. 아무리 가뭄이 들고 흉년이 들어도 솔모루 마을 태봉산 젖샘은 마르지 않고 펑펑 솟았다.

솔모루 태봉산에서 솟는 샘물이 마르지 않고 이 샘물을 마시면 젖샘이 솟는다는 소문을 들은 고을 원님은, 이 소문을 듣자마자 사람을 보내어 그 연유를 알아보게 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한 마디씩 하였다.

“조상 대대로 태봉산 기슭에다 소나무를 심고 키워서 정성을 들인 탓에 마을 사람들에게 보답하는 샘물을 주신거지요.”

“김 진사 댁 마님이 태봉산 신령님을 정성껏 모신 탓이지요.”

누구의 말이 옳은지는 알 수 없지만 지금도 솔모루 마을 태봉산 기슭에는 '젖샘'이라는 깨끗한 샘물이 쉬지 않고 솟아서 찾는이들의 목을 축여주고 있다.

끝까지 포천시 지명 유래의 "송우리, 태봉 및 태봉젖샘"을 정독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원문 : https://m.blog.naver.com/chy90/222209407674

 

[ 포천닷컴 포천닷컴 기자 ]